바르 코크바의 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 코크바의 난은 132년부터 136년까지 시몬 바르 코크바가 이끈 로마 제국에 대항한 유대인의 마지막 주요 반란이다. 이 전쟁은 제3차 유대-로마 전쟁으로도 불리며,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유대 정책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다. 반란은 예루살렘 점령으로 시작되었으나, 로마군의 대규모 반격으로 진압되었으며, 유대인들은 대규모 인명 피해와 추방, 노예화라는 끔찍한 결과를 겪었다. 로마는 유대교와 유대 문화를 말살하려 했고, 유대아라는 명칭을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변경했다. 바르 코크바의 난은 유대교의 변화와 디아스포라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이스라엘에서 민족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반란 - 황건적의 난
황건적의 난은 184년 장각이 이끄는 태평도가 탐관오리의 부정부패와 가혹한 세금에 저항하여 일으킨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후한 왕조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군웅할거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었으며 사회 불평등에 대한 저항이라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도 의미를 가지는 역사적 사건이다. - 2세기 반란 - 키토스 전쟁
키토스 전쟁은 115년부터 117년까지 로마 제국 내 여러 지역에서 일어난 유대인들의 반란으로, 유대 속주 총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로마 제국 내 유대인, 그리스인, 로마인 간의 갈등과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의 여파로 발생하여 로마의 진압으로 마무리되었다. - 유다이아 속주 - 가야파
가야파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로마 제국 시대의 대제사장으로, 예수의 재판을 주도하여 로마 당국에 넘겼으며, 정치적 권력 유지를 위해 예수를 제거하려 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 유다이아 속주 -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헤로데 아르켈라오스는 헤로데 대왕의 아들로 유대, 사마리아, 이두매 지역을 통치했으나, 폭동 진압과 잔혹한 통치로 인해 폐위되어 갈리아로 추방되었다. - 유대-로마 전쟁 - 베스파시아누스
베스파시아누스는 69년부터 79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며,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내전을 수습하여 권력을 강화했으며, 재정 개혁과 로마 재건 사업을 추진하고 백성들에게 관대한 통치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 유대-로마 전쟁 - 마사다
마사다는 사해 연안의 바위산에 있는 고대 요새로,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에 요새화되었으나 헤롯 대왕이 확장했고, 유대-로마 전쟁 중 시카리 반군이 점령하여 로마에 저항하다 함락되었으며, 현대 이스라엘에서 민족적 성지로 여겨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바르 코크바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바르 코크바 반란 (히브리어: מֶרֶד בַּר כּוֹכְבָא) |
로마자 표기 | Mereḏ Bar Kōḵḇāʾ |
시기 | 132년 – 136년 (주요 단계: 132년 가을 – 135년 여름) |
장소 | 유대 속주, 로마 제국 |
결과 | 로마군에 의한 반군의 유대 국가 파괴 |
추가 결과 | 유대를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재편 유대인 학살 하드리아누스에 의한 유대 종교/정치적 자치 억압 유대인의 예루살렘 출입 금지 전 세계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상당한 증가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로마 제국 |
교전국 2 | 유대인 |
지휘관 | |
로마 제국 | 하드리아누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루푸스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푸블리시우스 마르켈루스 티투스 하테리우스 네포스 퀸투스 롤리우스 우르비쿠스 |
유대인 | 시몬 바르 코크바 모디임의 엘레아자르 아키바 벤 요세프 예수아 벤 갈굴라 요나탄 벤 바이인 마스벨라 벤 시몬 엘레아자르 벤 키타 예후다 바르 메나셰 시몬 벤 마타냐 |
병력 규모 | |
로마 제국 | 2개 군단 – 20,000명 (132–133년) 5개 군단 – 80,000명 (133–134년) 6–7개 완전한 군단, 5–6개 이상의 코호트, 30–50개 보조 부대 – 120,000명 (134–135년) |
유대인 | 200,000–400,000명 민병대 12,000명 바르 코크바 친위대 |
부대 | |
로마 제국 | 키레나이카 제3군단 프레텐시스 제10군단 페라타 제6군단 갈리카 제3군단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 트라야나 제2군단 게미나 제10군단 히스파나 제9군단? 마케도니카 제5군단 (일부) 클라우디아 제11군단 (일부) 풀미나타 제12군단 (일부) 플라비아 펠릭스 제4군단 (일부) |
유대인 | 바르 코크바 군대 바르 코크바 친위대 지역 민병대 사마리아인 청년 부대 |
사상자 및 피해 | |
로마 제국 |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이 파괴되었을 가능성 있음 히스파나 제9군단이 해체되었을 가능성 있음 프레텐시스 제10군단이 막대한 피해를 입음 |
유대인 | 500,000–600,000명 사망 |
관련 전투 | |
기타 정보 | |
별칭 | 제2차 유대-로마 전쟁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시몬 바르 코크바 (히브리어: ) (기원후 132년 - 기원후 135년) |
추가 정보 | 유대인들은 그를 나시(나시: = 왕자)라고 불렀다. |
영향 | |
영향 | J. E. 테일러에 따르면, 이 시기는 유대인과 유대교에 대한 대량 학살, 중앙 유대 지역의 파괴가 일어난 결정적인 시기이다. |
2. 명칭
바르 코크바의 난은 지도자 시몬 바르 코크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전쟁은 세 차례에 걸친 주요 유대-로마 전쟁 중 마지막 전쟁이었기 때문에, 제3차 유대-로마 전쟁 또는 제3차 유대 반란이라고도 불린다. 일부 역사가들은 디아스포라 반란(115–117)을 제외하고 유대에서 벌어진 두 번째 유대 반란으로 보기도 한다.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으로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성전이 파괴된 이후에도 유대인들의 반로마 감정과 독립에 대한 열망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115년-117년)에는 키토스 전쟁이라 불리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대규모 봉기가 키레나이카, 이집트, 키프로스, 메소포타미아 등지에서 발생하며 로마와 유대인 간의 긴장은 계속되었다.[7] 로마 제국은 유대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군단을 상주시키는 등 강압적인 정책을 유지했다.
초기 학자들은 '바르 코크바'(별의 아들)가 지도자의 본래 이름인지, 아니면 나중에 생긴 비하적인 용어인 '바르 코시바'(실망의 아들)인지 논쟁했다. 그러나 1950년대 유대 사막에서 발견된 문서를 통해 그의 본래 이름이 '시메온 벤 코시바'였음이 확인되었다. '바르 코크바'라는 이름은 그를 지지했던 랍비 아키바 등이 붙여준 것이다. 랍비 아키바는 성경의 예언인 "야곱에게서 별(kokhav)이 뜬다"를 근거로 시메온 벤 코시바를 메시아로 여겼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요하난 벤 토르타와 같은 다른 동시대 현자들에게 반박당했다. 유대 사막에서 발견된 17개의 편지는 바르 코크바의 성격에 대한 일부 정보를 제공한다.
3. 배경
반란의 직접적인 계기는 130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유대 지역 순방과 이후 추진된 정책들로 여겨진다. 하드리아누스는 예루살렘의 폐허 위에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라는 이름의 새로운 로마 도시를 건설하고, 파괴된 예루살렘 성전 자리에 로마의 주신 유피테르 신전을 세우려 했다.[7][21] 이는 유대인들에게 자신들의 성지에 대한 심각한 모독으로 받아들여졌다. 또한, 하드리아누스가 유대교의 중요한 전통인 할례를 금지하려 했다는 주장도 반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제기된다.[34][35] 이러한 조치들은 유대인들의 종교적 감정을 크게 자극하며 반로마 감정을 폭발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8]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대 사회 내부에서는 메시아를 통한 민족 해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었다. '''시메온'''이라는 인물이 나타나 자신이 유대 민족을 구할 메시아라고 주장했으며, 당시 유대교의 최고 정신적 지도자 중 한 명이었던 라비 아키바 벤 요세프가 그를 "별의 아들"이라는 의미의 '''바르 코크바'''로 칭하며 지지를 표명했다. 아키바의 지지는 시메온에 대한 대중의 기대를 한층 높였고, 그는 로마의 압제로부터 유대 민족을 해방시킬 정치적 지도자로 부상했다. 제1차 유대 전쟁의 실패를 교훈 삼아, 유대 지도자들은 바르 코크바를 중심으로 보다 조직적인 반란을 준비하게 되었다.
3. 1. 로마 제국의 유대 통치 강화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으로 예루살렘이 함락된 이후, 로마와 유대인 간의 긴장은 계속되었다.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는 키토스 전쟁(115년-117년)이 발발했으며, 이는 로마 제국이 유대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7]
로마 당국은 반항적인 로마 유대 속주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의 총독 대신 프라에토르를 로마 총독으로 임명하고, 군단 전체, 즉 제10군단 프레텐시스를 이 지역에 상주시켰다. 또한 질서 유지를 위해 제6군단 페라타가 추가로 속주에 배치되었다. 하지만 2세기 초, 유대인에 대한 명확한 반감을 가진 총독들의 부임은 속주의 불안정한 관리를 심화시켜 반란의 잠재적 원인이 되었다.[7]
130년경 유대 지방을 순방한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두 가지 주요 정책으로 유대인들의 강한 반발을 샀다. 첫째는 예루살렘의 폐허 위에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라는 새로운 로마 도시를 건설하고 성전 산에 로마의 주신 유피테르 신전을 세우려 한 계획이었다.[7] -- -- 처음에는 하드리아누스가 성전 재건을 약속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유피테르 신전을 지으려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대인들은 배신감을 느꼈다.[21] 이 계획은 2014년 예루살렘에서 발견된 하드리아누스에게 헌정된 제10군단 프레텐시스 비문(129/130년 작성)[20]과 아일리아 카피톨리나 조폐창에서 발행된 동전[27][28][29] 등을 통해 역사적으로 뒷받침된다. 131년 집정관 퀸투스 티네이우스 루푸스가 도시 경계를 갈아엎는 기공식을 거행했는데,[23] 이는 유대인들에게 '성전 갈아엎기'로[24][25][26] 여겨져 종교적 모독으로 간주되었고, 반로마 감정을 크게 자극했다.[8]
둘째는 유대인의 전통인 할례를 금지한 조치이다. 신뢰성에 논란이 있는[30][31] ''아우구스타사''는 하드리아누스가 할례를 '생식기 절단'(mutilare genitalia|무틸라레 게니탈리아la)[32][33]으로 간주하여 금지했다고 주장한다.[34] 친헬레니즘 성향의 하드리아누스가 할례를 야만적인 훼손 행위로 보았을 가능성도 있지만,[35] 단순히 로마인들에게 생소한 유대교 전통을 조롱하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36][37][38] 이유가 무엇이든, 모세 이후 신과의 계약의 증표로 여겨온 할례를 금지하려 한 것은 유대인들에게 큰 반감을 샀다.
이러한 로마 제국의 통치 강화 정책들, 즉 행정 체계 변경, 군단 상주, 아일리아 카피톨리나 건설과 유피테르 신전 건립 계획, 할례 금지 등은 기존의 행정법 변화, 로마 시민의 특권 확대, 농업 관행 변화와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키토스 전쟁 등 이전의 저항 경험과 맞물려 유대 민족주의를 고조시켰고, 결국 바르 코크바의 난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7]
3. 2.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정책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의 결과로 예루살렘이 함락되었고, 트라야누스 황제 시대에는 키토스 전쟁(115년-117년)이 일어나 로마와 유대인 사이의 긴장은 계속 고조되었다.[7] 로마 당국은 이러한 반란의 재발을 막기 위해 유대 속주에 프라에토르를 총독으로 임명하고, 제10군단 프레텐시스를 포함한 2개의 로마 군단을 상주시켰다. 2세기 초, 일부 총독들의 유대인에 대한 명확한 반감과 부실한 속주 관리 역시 반란의 배경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7]
130년경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유대 지방을 방문했을 때 시행한 두 가지 주요 정책은 유대인들의 격렬한 분노를 샀다.
첫째는 예루살렘의 폐허 위에 로마식 도시인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를 건설하고, 그 중심에 로마의 주신 유피테르를 위한 신전을 세우려 한 계획이다.[7] 이 도시는 제10군단 프레텐시스의 새로운 주둔지로 계획되었다. 131년 집정관 퀸투스 티네이우스 루푸스는 도시 경계를 쟁기질하는 기공식을 거행했는데,[23] 이는 성전 산을 갈아엎는 행위로 간주되어[24][25][26] 많은 유대인에게 심각한 종교적 모독으로 받아들여졌고 반로마 감정을 극도로 자극했다.[8] 로마는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라는 이름이 새겨진 동전을 발행했다.[27][28][29]
최근 예루살렘에서 발견된 하드리아누스에게 헌정된 라틴어 비문(129/130년 작성)[20]과 아일리아 카피톨리나에서 발행된 동전들은[27][28][29] 도시 건설 계획이 반란 이전에 수립되었으며, 반란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였음을 시사한다. 이는 과거 일부 역사가들이 제기했던, 도시 건설이 반란 진압 후 처벌의 일환이었다는 주장을 반박하는 증거로 여겨진다.[19] 일설에 따르면, 하드리아누스는 처음에 유대인들에게 성전 재건을 약속했으나, 이후 유피테르 신전을 지으려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유대인들은 배신감을 느꼈다고 전해진다.[21] (랍비 문헌에는 악의적인 사마리아인의 방해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이는 유대 문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플롯 장치일 가능성이 있다.[22])
둘째는 유대교의 중요한 전통인 할례를 금지하려 했다는 주장이다. 역사적 사료로서의 신뢰성에 논란이 있는 ''아우구스타사''는[30][31] 하드리아누스가 할례(''브리트 밀라'')를 '생식기 절단'(''mutilare genitalia'')[32][33]으로 간주하여 금지했고, 이것이 반란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고 기록한다.[34] 친헬레니즘 성향이었던 하드리아누스가 할례를 야만적인 훼손 행위로 보았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35] 그러나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니거나, 로마인들에게 생소했던 유대교 관습을 조롱하기 위한 기록일 수 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36][37][38]
이러한 로마의 정책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자, 질서 유지를 명목으로 제6군단 페라타가 추가로 유대 속주에 파견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이러한 조치들은 결국 유대인들의 반로마 감정을 폭발시켜 바르 코크바의 난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4. 경과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유대인 반군은 로마군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요충지에 지하 은신처 시스템을 구축하여 게릴라전을 펼쳤다. 이 은신처들은 피난 및 비밀 이동 통로로 활용되었으며, 유대 산악 지대, 유대 사막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수백 개의 유적이 발견되어 그의 기록을 뒷받침한다.[39][135] 반란군의 주요 본부는 예루살렘 인근의 전략적 요충지인 베타르에 마련되었다.
132년, 시몬 바르 코크바와 엘라자르가 이끈 반란은 모디인에서 시작되어 빠르게 유다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예루살렘의 로마 수비대를 몰아내는 등 초기 성공을 거두었다.[4] 이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의 실패를 교훈 삼아 신중하게 계획된 결과였다.[40] 로마는 초기에 투입한 10군단과 6군단이 진압에 실패하자, 로마 시리아와 로마 아라비아 등 인근 속주에서 추가 병력을 급파했다.[41] 일각에서는 이 과정에서 22 데이오타리아나 군단이 매복 공격으로 전멸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2]
시몬 바르 코크바는 '나시 이스라엘'(이스라엘의 지도자) 칭호를 사용하며 2년 반 이상 독립적인 통치를 이어갔다. 당시 유대교 최고 현자로 존경받던 랍비 아키바는 그를 메시아로 선언하고 '바르 코크바'(별의 아들)라는 이름을 부여하며 반란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다.[45]
반란이 장기화되자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브리타니아에서 유능한 장군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를 소환하고, 제국 전역에서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켰다. 133년 또는 134년에 유대에 도착한 세베루스는 최소 10개 군단과 다수의 보조 부대를 포함, 총 6만에서 12만 명에 달하는 압도적인 병력을 지휘했다. 이는 당시 로마 제국 전체 군사력의 상당 부분에 해당하며,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티투스가 동원했던 규모를 훨씬 능가하는 것이었다.[47] 세베루스는 초토화 전술을 사용하여 반란군을 압박했으며, 베이트 셰안 계곡의 텔 샬렘 인근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48][49][50]
결정적인 거점들을 상실한 바르 코크바와 남은 저항 세력은 베타르 요새에서 최후의 항전을 벌였다. 로마군은 135년 여름, 5 마케도니카 군단과 11 클라우디아 군단을 동원하여 베타르를 포위 공격했고,[51] 유대 전승에 따르면 티샤 베아브에 요새는 함락되었다. 랍비 문헌은 바르 코크바가 외삼촌인 랍비 엘라자르 하무다이를 내통 혐의로 처형하여 신의 가호를 잃었기 때문에 패배했다고 설명한다.[52] 베타르 함락 이후 로마군은 잔혹한 학살을 자행했으며,[53][54] 랍비 아키바를 포함한 산헤드린의 주요 학자들도 고문 끝에 처형되었다.[55] 로마군은 이후에도 조직적인 소탕 작전을 벌여 136년 초까지 반란을 완전히 진압했다.[56]
4. 1. 항쟁의 시작 (132년)
132년 당시 유다인들에게 존경받던 랍비 아키바 벤 요셉은 임박한 반란을 선동하였고, 시몬 바르 코크바를 지도자로 하여 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항쟁이 일어났다. 바르 코크바는 아람어로 "별의 아들"을 의미하는데, 이는 유대교 경전인 구약 민수기 24장 17절의 "야곱에게서 한 별이 나오며 이스라엘에게서 한 규가 일어나서..."라는 구절과 맞물려 많은 유대인들에게 그가 진정한 메시아로 여겨지게 만들었다. 랍비 아키바는 이러한 믿음을 공식적으로 확인해주었다.항쟁의 직접적인 계기는 130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순방이었다. 황제는 70년 예루살렘 공방전으로 파괴된 예루살렘을 재건하겠다고 약속했으나, 도시 이름을 로마식인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바꾸고 예루살렘 성전 자리에 로마 신 유피테르의 신전을 세우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유대인들의 분노를 샀다. 또한, 모세 이후 유대인들에게 신과의 계약의 증표였던 할례를 금지하려 한 조치 역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랍비 아키바를 중심으로 한 유대 지도자들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의 실패를 교훈 삼아 신중하게 반란을 계획했다.[40] 132년에 시몬 바르 코크바와 엘라자르가 이끈 반란은 모디인에서 시작되어 유다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고, 예루살렘의 로마 수비대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4] 바르 코크바는 스스로 이스라엘의 통치자를 의미하는 '나시'를 칭하며 "이스라엘 해방 제1년"이라고 새겨진 동전을 발행했고, 랍비 아키바는 유대교 부흥에 힘썼다.
카시우스 디오는 유대인들이 로마군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요충지를 점령한 뒤 지하 동굴과 요새를 만들어 피난처와 비밀 통로로 활용했다고 기록했다. 이 지하 통로들은 환기와 채광을 위한 구멍이 있었으며, 수백 개의 은신처 유적이 발견되면서 디오의 기록이 뒷받침되었다. 이러한 은신처 시스템은 유대 산악 지대, 유대 사막, 북부 네게브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활용되었으며, 갈릴리, 사마리아, 요르단 계곡에서도 일부 발견되었다. 많은 가옥 지하에 만들어진 은신처는 유대 반군이 좁은 통로와 매복을 통해 로마군의 우세에 맞서 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9] 2015년 7월 기준으로 약 140개 유대인 마을 유적에서 약 350개의 은신처 시스템이 확인되었다.[135] 디오는 유대인들이 반란 준비 과정에서 일부러 품질이 낮은 무기를 만들어 로마군에게 납품하고 자신들은 제대로 된 무기를 사용했다고 주장했으나, 이를 뒷받침할 고고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반군 지역에서 발견된 무기들은 로마군이 사용하던 것과 동일한 종류였다.
예루살렘 인근의 베타르는 전략적 위치, 풍부한 샘, 방어에 유리한 지형 덕분에 반군의 본부로 선택되었다. 발굴을 통해 바르 코크바 군대가 건설한 것으로 보이는 요새 유적이 발견되었으나, 이것이 반란 초기에 건설되었는지 후반에 건설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초기에 투입된 레기오 10과 레기오 6이 반란 진압에 실패하자, 로마는 추가 병력을 투입했다. 로마 시리아의 레가투스였던 가이우스 포블리키우스 마르켈루스가 레기오 3 ''갈리카''를 이끌고 왔으며, 로마 아라비아 총독 티투스 하테리우스 네포스는 레기오 3 ''키레나이카''를 동원했다.[41] 일부 역사가들은 레기오 22 ''데이오타리아나'' 역시 아라비아 페트라에아에서 파견되었으나, 아일리아 카피톨리나(예루살렘)로 향하던 중 매복 공격을 받아 전멸했고 이후 부대가 해체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42] 랍비 문헌에 따르면, 반란이 절정에 달했을 때 바르 코크바가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은 약 40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43]
시몬 바르 코크바는 ''나시 이스라엘''(이스라엘의 지도자)이라는 칭호를 얻었고, 2년 반 이상 사실상 독립적인 이스라엘을 통치했다. 반란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랍비 아키바는 시몬에게 민수기 24장 17절의 별 예언을 따라 "별의 아들"을 의미하는 아람어 족칭 ''바르 코크바''를 부여하며 그를 유대 메시아로 선언했다.[45] 바르 코크바라는 이름 자체는 탈무드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초기 기독교 문헌 등에는 기록되어 있다.[46]
4. 2. 로마의 진압 (133년 ~ 13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브리타니아에 주둔하던 유능한 장군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를 소환하고, 도나우강 유역의 군단을 포함한 대규모 병력을 유대 지역으로 파견했다.[4][40] 반란 초기 로마는 레기오 10 프레텐시스와 레기오 6 페라타를 투입했으나 반란을 제압하지 못하자,[4] 로마 시리아의 레가투스였던 가이우스 퀸티우스 케르투스 포블리키우스 마르켈루스가 레기오 3 갈리카를, 아라비아 페트라에아 총독 티투스 하테리우스 네포스가 레기오 3 키레나이카를 이끌고 증원되었다.[41] 일각에서는 레기오 22 데이오타리아나도 파견되었으나 매복 공격으로 전멸하여 해체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42]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유대인 반군은 로마군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지형적 이점을 살려 지하 은신처 시스템을 구축하여 저항했다. 이 은신처들은 갱도와 벽으로 강화되었고, 지하 통로로 서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공기와 빛을 위한 통풍구도 갖추고 있었다. 실제로 유대 산악 지대, 유대 사막, 북 네게브 등지에서 수백 개의 은신처 유적이 발견되어 디오의 기록을 뒷받침한다.[39][135] 반면, 디오가 언급한 유대인들의 불량 무기 제작 주장은 고고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으며, 발견된 무기들은 로마군의 것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반란군은 예루살렘 근처의 전략적 요충지인 베타르를 본부로 삼았는데, 이곳은 풍부한 샘과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갖추고 있었다.
133년 또는 134년에 유대에 도착한 세베루스는 유럽에서 온 3개 군단(레기오 10 게미나, 레기오 9 히스파나 포함 가능성)과 추가 파견대, 30~50개의 보조 부대를 지휘했다. 반란 진압에 동원된 로마 병력은 티투스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지휘했던 규모를 훨씬 능가하여, 로마 제국 전체 군사력의 거의 3분의 1에 달하는 6만에서 12만 명 규모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최소 10개 군단(레기오 10 프레텐시스, 레기오 6 페라타, 레기오 3 갈리카, 레기오 3 키레나이카, 레기오 2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레기오 10 게미나, 레기오 5 마케도니카, 레기오 11 클라우디아, 레기오 12 풀미나타, 레기오 4 플라비아 펠릭스)의 병력이 투입된 것으로 확인된다.[47] 이 과정에서 레기오 9 히스파나가 소멸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7]
세베루스는 북부 지역부터 차근차근 점령해 나갔으며, 134년에는 대대적인 공세를 펼쳐 예루살렘을 탈환했다. 베이트 셰안 계곡의 텔 샬렘 인근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곳에서 레기오 6 페라타의 야영지와 하드리아누스 황제에게 헌정된 개선문 유적, 황제의 흉상 등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48][49][50]
거점을 잃은 바르 코크바와 남은 군대는 베타르 (요새)로 퇴각하여 최후의 항전을 벌였다. 로마군은 135년 여름, 레기오 5 마케도니카와 레기오 11 클라우디아를 동원하여 베타르를 포위 공격했다.[51] 유대 전승에 따르면 베타르는 티샤 베아브(아브월 9일), 즉 제2성전 파괴 기념일에 함락되었다. 탈무드는 바르 코크바가 자신의 외삼촌이자 정신적 지주였던 랍비 엘라자르 하무다이를 로마군과 내통했다는 의심으로 살해하여 신의 보호를 잃었기 때문에 패배했다고 전한다.[52] 베타르 함락 이후 로마군은 잔혹한 학살을 자행했으며, 예루살렘 탈무드는 "말의 콧구멍까지 피에 잠길 정도"로 많은 사람이 살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53][54] 바르 코크바는 베타르에서 완강히 저항했으나 결국 자결(또는 전사)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잔당은 136년까지 저항하다 전멸했다.
반란의 또 다른 지도자였던 랍비 아키바는 로마군에 체포되어 모진 고문 끝에 처형되었다. 미드라시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산헤드린의 주요 구성원이었던 랍비 아키바, 하닌 벤 테라디온, 랍비 후스피스, 엘르아자르 벤 샴무아, 하니나 벤 하키나이, 예슈바브 서기관, 유다 벤 다마, 유다 벤 바바 등 8명의 학자를 처형했다(십인 순교자). 랍비 문헌은 이들이 겪은 끔찍한 고문을 상세히 묘사하는데, 아키바는 쇠빗으로 살갗이 벗겨졌고, 하닌 벤 테라디온은 젖은 양모에 싸인 토라 두루마리와 함께 화형당했다고 전해진다.[55]

베타르 함락 이후에도 로마군은 조직적인 소탕 작전을 벌여 유대인 마을들을 파괴하고 숨어있는 난민들을 색출했다. 주로 레기오 3 키레나이카가 이 작전을 수행했으며, 135년 늦겨울 또는 136년 봄까지 저항이 이어졌다는 주장도 있으나, 136년 초에는 반란이 완전히 진압된 것으로 보인다.[56]
3년에 걸친 이 전쟁으로 로마군 역시 막대한 피해를 입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원로원에 의례적인 승전 보고만 했을 뿐, 로마 제국의 위엄을 과시하는 개선식을 거행하지 않았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4. 3. 베타르 함락과 항쟁 종결 (13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반란 진압을 위해 브리타니아에 주둔 중이던 유능한 장군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를 지휘관으로 임명하고, 도나우강 유역의 군단들을 포함한 대규모 병력을 유대 지역으로 파견했다.[4][41] 세베루스는 133년 또는 134년에 유대에 도착했으며, 로마 군대의 총 병력은 티투스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지휘했던 규모를 훨씬 능가하여, 최소 10개 군단과 30~50개의 보조 부대를 포함해 6만에서 12만 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당시 로마 제국 전체 군사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규모였다.세베루스는 유대 북부에서부터 차근차근 진압 작전을 펼쳤다. 유대 반군은 카시우스 디오의 기록처럼 로마군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지하 은신처와 요새화된 거점을 이용해 저항했다.[39] 그러나 로마군의 압도적인 병력과 체계적인 전술 앞에 점차 밀려났고, 134년 로마군은 대대적인 공세를 통해 예루살렘을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예루살렘을 비롯한 주요 거점들을 잃은 바르 코크바와 남은 저항 세력은 예루살렘 남서쪽에 위치한 베타르 요새로 후퇴하여 마지막 항전을 준비했다. 로마군은 레기오 5 ''마케도니카''와 레기오 11 ''클라우디아''를 포함한 병력으로 135년 여름, 베타르를 포위했다.[51] 유대교 전승에 따르면, 베타르 요새는 제2성전 파괴를 애도하는 티샤 베아브(음력 아브월 9일)에 함락되었다. 랍비 문헌은 바르 코크바가 자신의 외삼촌인 랍비 엘라자르 하무다이를 로마군과 협력한다고 의심하여 살해했기 때문에 신의 보호를 잃고 패배했다고 설명하기도 한다.[52] 요새 함락 이후 로마군은 잔혹한 학살을 자행했으며, 예루살렘 탈무드는 "말이 콧구멍까지 피에 잠길 때까지 죽였다"고 기록할 정도로 그 참상이 끔찍했음을 전한다.[53][54]
바르 코크바는 베타르 함락 과정에서 전사했거나 자결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란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랍비 아키바를 비롯한 많은 유대교 지도자들도 로마군에 체포되어 고문 끝에 처형되었다. 미드라시는 산헤드린의 주요 구성원 8명(십인 순교자 목록 참고)이 처형되었으며, 특히 아키바는 쇠빗으로 살가죽이 벗겨지는 고통스러운 형벌을 당했다고 기록하고 있다.[55]
베타르 함락 이후에도 일부 잔존 세력의 저항이 있었으나, 로마군은 조직적인 소탕 작전을 벌여 136년 초까지 반란을 완전히 진압했다.[56] 바빌론 탈무드는 바르 코크바가 2년 반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3년에 걸친 전쟁으로 로마군 역시 상당한 피해를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원로원에 의례적인 승전 보고만 했을 뿐, 로마 황제의 권위를 과시하는 개선식을 거행하지 않았는데, 이는 로마군의 큰 손실을 감추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5. 결과 및 영향
바르 코크바의 난은 유대 민족에게 참혹한 결과를 안겨주었다. 막대한 인명 손실과 함께 광범위한 강제 이주 및 노예화가 발생했으며, 유대아 지역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보다 더욱 심각하게 황폐화되었다.[11][14]
반란을 진압한 로마의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유대 민족의 저항 정신의 근원이 유대교와 그 문화에 있다고 보고 이를 근절하고자 하였다. 유대력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교 지도자들을 처형했으며, 율법 서적을 성전산에 버리고 묻었다. 또한 예루살렘의 이름을 로마식인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변경하고 유대인의 도시 출입을 금지하는 등 강력한 탄압 정책을 시행했다.
나아가 하드리아누스는 유대 민족의 역사적 흔적을 지우기 위해 속주 '유대아'의 명칭을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변경했다. 이는 유대인의 오랜 적대 민족이었던 필리스티아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오늘날 팔레스타인이라는 지명의 기원이 되었다.
이러한 로마 제국의 탄압과 디아스포라는 유대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남겼다. 일상 언어로서 히브리어의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유대교의 메시아 사상에도 변화가 나타나는 등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5. 1. 유대인의 피해
기록에 따르면 유대인의 거점 요새 50개가 함락되었고 985여 개의 마을이 폐허가 되었으며, 사망자는 약 58만 명에 달했다. 또한 수많은 유대인이 노예로 팔려나가거나 강제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야 했다.이 반란은 유대 민족에게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막대한 인명 손실과 함께 광범위한 강제 이주 및 노예화가 발생했다. 이러한 고통의 규모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보다 훨씬 심각했으며, 유대아 지역은 황폐화되었다.[11][14]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대량 학살 행위로 규정하기도 한다.[11][57] 반란이 진압된 지 수십 년 후, 로마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 (155년경–235년경)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12]
> "그들의 가장 중요한 50개의 전초 기지와 985개의 가장 유명한 마을이 파괴되었다. 다양한 습격과 전투에서 580,000명의 남자가 살해되었고, 굶주림, 질병, 화재로 사망한 사람들의 수는 헤아릴 수 없었다. 이로써 유대아의 거의 전체가 황폐해졌다."[12]
> — 카시우스 디오, ''로마사'' 69.14.1–2
페터 셰퍼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카시우스 디오가 제시한 사망자 수가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지만,[58]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이 유대아의 유대인 인구에게 엄청난 재앙이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고고학적 증거 역시 유대아 지역에서 광범위한 파괴가 있었음을 뒷받침한다. 이 지역의 거의 모든 마을 유적에서 반란으로 인한 파괴층이 발견되며, 발굴된 로마 시대 유대인 정착지 대부분에서 파괴 또는 폐기된 흔적과 함께 상당 기간 정착이 중단되었음을 보여주는 공백기가 확인된다. 이를 통해 반란이 끝날 무렵 유대아 지역의 유대인 정착지는 거의 완전히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12]
시메온 애플바움은 당시 유대아에 거주하던 유대인 인구의 약 3분의 2가 반란 중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59] 2003년 코튼은 로마의 인구 조사 기록을 고려할 때 디오의 수치가 상당히 신빙성 있다고 평가했다.[60] 2021년 드비르 라비브와 하임 벤 데이비드의 민족 고고학적 비교 분석 연구 역시 디오의 기록이 "신뢰할 수 있으며", "동시대 문서에 근거"하고 있다며 그의 주장을 뒷받침했다.[12][61]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유대와 사마리아 전역의 로마 시대 유대인 마을 유적지와 이스라엘 해안 평야의 로마 지배 도시들에서 여러 고고학 발굴이 이루어졌다. 유대 지역의 마을 유적 대부분에서 바르 코크바의 난 시기에 해당하는 파괴 또는 버려진 흔적이 나타난다. 마을 아래나 근처에 만들어진 숨겨진 복합 시설, 매장 동굴, 저장 시설, 밭의 탑 등 지하 시설에서도 파괴층과 버려진 퇴적물이 발견되었으며, 그 위로는 정착의 공백기가 확인된다. 트란스요르단과 갈릴리 지역에서 발견된 자료들도 유대 지역의 상황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호르바트 에트리나 키르베트 바드 이사와 같은 고고학 유적지 발굴을 통해, 이 유대인 마을들이 반란으로 파괴된 후 3세기에 이교도 집단에 의해 재정착되었음이 밝혀졌다.[111][112][113] 반란 이전에는 유대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진 고프나 같은 마을에서도 후기 로마 시대에는 헬레니즘 및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이교도들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된다.[114]
헤로디움 유적은 1980년대 고고학자 에후드 네처에 의해 발굴되었다. 발굴 결과, 바르 코크바의 난 후기에 기존의 저수조들을 연결하는 복잡한 터널망이 구축되었음이 드러났다.[115] 이 터널들은 숨겨진 입구로 이어져, 헤로디움 요새를 포위한 로마군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르 코크바의 마지막 저항 거점이었던 베타르의 유적은 오늘날 바티르와 베이타르 일리트 근처의 고고학 유적지 '키르베트 알-야후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유적지 근처에서는 라틴 문자가 새겨진 석비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제5 마케도니아 군단과 제11 클라우디아 군단이 베타르 포위 작전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116]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유대 민족 저항의 근본 원인이 유대교와 그 문화에 있다고 보고 이를 뿌리 뽑으려 했다. 유대력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교 지도자들을 처형했으며, 율법 서적을 성전산에 버려지거나 묻혔다. 또한 예루살렘의 이름을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바꾸고 유대인의 도시 출입을 금지했다. 이러한 조치는 4세기에 이르러서야 완화되어, 유대인들은 특정일에만 성전산의 일부인 통곡의 벽 앞에 서는 것이 허용되었다. 하드리아누스는 유대적인 색채를 완전히 지우기 위해 속주 '유대아'의 이름마저 폐지하고, 유대인의 오랜 적대 민족이었던 필리스티아인의 이름에서 따온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변경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이라는 지명은 여기서 유래했다.
5. 2. 유대인의 추방과 디아스포라
이 전쟁의 결과로 유대인들은 고향에서 쫓겨났고, 그 자리에 다른 민족들이 들어와 살게 되었다.[11][14] 로마 제국은 예루살렘을 다시 한번 철저히 파괴하고, 도시 이름을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바꾸어 로마식으로 재건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예루살렘이 계속해서 로마에 저항하는 중심지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유대인을 도시에서 추방하고 다시는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이 조치로 유대인들의 디아스포라(이산)는 더욱 확산되었고, 이후 약 2,000년 동안 유대 지역은 유대인의 종교적,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었다. 반란은 유대 인구에게 엄청난 파괴를 가져왔다.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고, 강제로 고향을 떠나거나 노예로 팔려가는 일이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이러한 고통은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때보다 훨씬 심각했으며, 유대아 지역은 황폐해졌다.[11][14]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대량 학살 행위로 보기도 한다.[11][57]
반란이 진압된 지 수십 년 후, 로마의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서기 155년경–235년)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12]
:''유대인들의 가장 중요한 50개의 요새와 985개의 가장 이름난 마을이 파괴되었다. 여러 습격과 전투에서 58만 명의 남자가 살해되었고, 굶주림과 질병, 화재로 죽은 사람의 수는 헤아릴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유대아 거의 전역이 황무지가 되었다.'' — 카시우스 디오, ''로마사'' 69.14.1–2
페터 셰퍼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카시우스 디오가 제시한 숫자가 다소 과장되었을 수 있다고 보지만,[58]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반란이 유대아의 유대인들에게 엄청난 재앙이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고고학적 증거 역시 유대아 지역의 광범위한 파괴를 뒷받침하며, 이 지역의 모든 마을에서 반란으로 인한 파괴의 흔적이 나타난다. 발굴된 유대아의 로마 시대 정착지의 대부분은 파괴 또는 폐기 층을 보여주며, 이러한 층 위에 상당한 정착지 공백이 있음을 나타낸다. 유대아의 유대인 정착지는 반란이 끝날 무렵 거의 완전히 근절된 것으로 보인다.[12]
시메온 애플바움은 유대아 유대인 인구의 약 3분의 2가 반란 중에 사망했다고 추정한다.[59] 2003년 코튼은 정확한 로마 인구 조사 선언을 감안할 때 디오의 수치가 매우 그럴듯하다고 묘사했다.[60] 2021년, 드비르 라비브와 하임 벤 데이비드가 수행한 민족 고고학적 비교 분석은 디오의 인구 감소 주장의 정확성을 뒷받침하며, 그의 기록을 "신뢰할 수 있다"고 묘사했다. 그리고 "동시대 문서에 근거"하고 있다.[12][61]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유대교와 그 문화가 유대인들의 저항 정신의 근원이라고 보고 이를 뿌리 뽑으려 했다. 유대력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교 지도자들을 처형했으며, 율법 서적들을 성전 언덕에 버리고 묻어버렸다. 예루살렘이라는 이름 대신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했고, 유대인의 도시 출입을 금지했다. 서기 4세기에 이르러서야 유대인들은 정해진 날에만 옛 성전 터의 일부인 통곡의 벽 앞에 서는 것이 허락되었다. 하드리아누스는 유대적인 것을 철저히 지우기 위해 속주 '유대아'의 이름마저 폐지하고, 유대인의 오랜 적인 필리스티아인의 이름에서 따온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변경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팔레스타인이라는 지역명은 여기서 유래한다.
5. 3. 유대교의 변화
바르 코크바의 난은 유대 사회와 종교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히브리어의 사용과 유대교의 정치적, 종교적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난 이후, 히브리어는 일상 언어로서의 지위를 잃고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반란 이전에는 유대 지역 주민 상당수가 히브리어를 사용했지만, 3세기에 이르러서는 미쉬나에 기록된 식물의 히브리어 이름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현자들이 많아졌다. 일부 남부 지역의 현자들만이 히브리어를 계속 사용했을 뿐이다. 예루살렘 탈무드나 고전 미드라쉬 등에서는 아람어가 주로 사용되었고, 히브리어는 주로 문학적이거나 인공적인 언어로만 남게 되었다. 묘지나 회당 같은 제한적인 공간에서만 히브리어 사용 흔적을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반란의 비참한 종말은 유대교 종교 사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유대교의 메시아 사상은 추상적이고 정신적인 것으로 바뀌었고, 랍비의 정치 사상은 매우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변했다. 예를 들어, 탈무드는 바르 코크바를 בֶּן כּוֹזִיבָא|벤 코지바he('속임수의 아들'이라는 뜻)라고 부르며, 그를 거짓 메시아의 반열에 올려놓았다.[18] 이처럼 메시아 운동에 대한 랍비들의 조심스러운 태도는 마이모니데스가 쓴 "예멘에 보내는 편지"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이는 과거 메시아 봉기의 실패가 남긴 깊은 상처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44]
한편, 이 반란은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에 따르면, 유대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메시아로 믿었기 때문에 바르 코크바를 지지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반란을 주도한 유대인들로부터 "온갖 종류의 박해"를 받거나 살해당하기도 했다.[91][92][93]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 제국은 반란 이후 기독교인들 역시 유대인들과 함께 예루살렘에서 추방했다.[94]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유대교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분리되는 계기가 되었다.[18]
5. 4. 팔레스타인 명칭의 유래
이 전쟁 이후 로마 제국은 유대인들을 유대 지역에서 추방했고, 예루살렘은 다시 한번 철저히 파괴되었다. 도시 이름은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바뀌었으며, 철저하게 로마식 도시로 재건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예루살렘이 로마에 대한 저항의 중심지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유대인의 도시 출입을 금지했다.이로 인해 유대인들의 디아스포라는 더욱 확산되었고, 이후 약 2,000년 동안 유대 지역은 유대인의 종교적,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유대 민족의 불안정 요인이 유대교와 그 문화에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뿌리 뽑으려 했다. 유대력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교 지도자들을 처형했으며, 율법 서적들을 성전 언덕에 버리고 묻어버렸다. 서기 4세기에 이르러서야 유대인들은 특정일에만 옛 성전 터의 일부인 통곡의 벽 앞에 서는 것이 허용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유대적인 색채를 완전히 지우기 위해 속주 유대의 이름마저 폐지하고,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변경했다. 이 새로운 이름 팔레스티나는 과거 유대인과 적대 관계였던 필리스티아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유대 민족의 역사를 지우려는 의도가 담긴 조치였다.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팔레스타인이라는 지역 명칭은 바로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6. 로마의 피해
로마군의 사상자는 막대했다. 제10 군단 ''프레텐시스''는 반란 중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3] 제22 군단 ''데이오타리아나''는 반란 이후 해산되었는데, 이는 심각한 손실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95] 카시우스 디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게다가 이 전쟁에서 많은 로마인들이 죽었다. 그러므로 하드리아누스는 원로원에 보낸 서신에서 황제들이 흔히 사용하는 시작 문구('만약 당신과 당신의 자녀들이 건강하다면, 그것은 좋은 일입니다. 나와 군대도 건강합니다.')를 사용하지 않았다."[96] 일부 학자들은 150년대 후반과 160년대에 보존된 로마 퇴역 군인 졸업장의 수가 예외적으로 많은 점을 들어, 133년에서 135년 사이에 군단과 보조 부대의 막대한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로마 제국 전역에서 전례 없는 규모의 징집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반란 시기와 일치한다.[97]
일부 역사가들은 제9 ''히스파나'' 군단이 2세기 중반에 해산된 것 역시 이 전쟁의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7] 이전에는 제9 군단이 서기 108년경에 사라졌으며, 독일 역사가 테오도르 몸젠에 따르면 브리타니아에서 멸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2015년 네이메헌에서 발견된 서기 121년의 고고학적 증거에는 제9 군단의 고위 장교 두 명의 비문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120년에 군단의 부사령관이었으며 이후 수십 년 동안 생존하며 뛰어난 공직 경력을 쌓았다. 이를 통해 제9 군단은 120년에서 197년 사이에 해산된 것으로 결론 내려졌으며, 해산 원인으로는 바르 코크바의 반란 진압 과정에서의 손실, 카파도키아(161년) 또는 다뉴브 강(162년)에서의 전투 등이 거론된다.[98]
7. 현대적 의의
이 반란의 비참한 종말은 유대교 종교 사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유대교의 메시아 사상은 추상적이고 정신적인 것으로 바뀌었고, 랍비들의 정치 사상은 매우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변했다. 예를 들어, 탈무드는 바르 코크바를 "벤-쿠시바"라고 부르는데, 이는 그가 거짓 메시아였음을 나타내는 경멸적인 표현이다. 마이모니데스의 "예멘에 보내는 편지"에서 가장 잘 드러나듯, 메시아 사상에 대한 랍비들의 깊이 양면적인 입장은 메시아 봉기의 실패로 인한 트라우마를 다루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44]
랍비 이후 시대에 바르 코크바의 난은 용감한 민족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시온주의 청년 운동인 베타르는 바르 코크바의 전통적인 마지막 거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이스라엘의 초대 총리인 다비드 벤구리온은 바르 코크바의 장군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히브리어 성을 지었다.[145]
이스라엘 유치원 교육 과정에 포함된 인기 있는 동요에는 "바르 코크바는 영웅이었다 / 그는 자유를 위해 싸웠다"라는 후렴구가 있으며, 그 가사는 바르 코크바가 사로잡혀 사자 굴에 던져졌지만 사자 등에 올라타 탈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46]
참조
[1]
서적
Legions and veterans: Roman army papers 1971–2000
Franz Steiner Verlag
[2]
저널
Two Legions: The Same Fate?
[3]
서적
The Second Jewish Revolt: The Bar Kokhba War, 132–136 CE
Brill
[4]
서적
Little-Known Wars of Great and Lasting Impact
https://books.google[...]
Fair Winds Press
[5]
서적
The Bar Kokhba Revolt: The Roman Point of View
[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4, The Late Roman-Rabbinic Period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Prophecies of Daniel 2
https://books.google[...]
Xulon Press
[10]
웹사이트
Israel Tour Daily Newsletter
http://www.rsy-netze[...]
2010-07-27
[11]
서적
The Essenes, the Scrolls, and the Dead S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저널
Cassius Dio's figures for the demographic consequences of the Bar Kokhba War: Exaggeration or reliable account?
2021-05-27
[13]
서적
The Bar Kokhba War AD 132–136: The last Jewish revolt against Imperial Rom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4]
서적
The Cities of the Eastern Roman Provinces
Oxford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4, The Late Roman-Rabbinic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백과사전
Judaea-Palaestina
https://oxfordre.com[...]
2024-04-09
[17]
백과사전
Bar Kokhba
https://oxfordre.com[...]
2024-04-09
[18]
서적
The Jews under Roman and Byzantine Rule
Jerusalem
[19]
저널
Jerusalem and the Bar Kokhba Revolt Again: A Note, Eusebius and Hadrian's Founding of Aelia Capitolina in Jerusalem
http://www.ejournals[...]
[20]
뉴스
2,000-year-old inscription dedicated to Roman emperor unveiled in Jerusalem
https://www.jpost.co[...]
[21]
서적
Roman History
https://web.archiv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12
[22]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in the Greco-Roman World: The Jews of Palestine from Alexander the Great to the Arab Conquest
Routledge
[23]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https://penelope.uch[...]
Taylor & Francis
[24]
서적
Mishnayoth , Vol. II, Order Moed, The Mishna tractate Taanith (On the public fasts), Eighteen Treatises from the Mishna
http://hebrewbooks.o[...]
Judaica, Palestine House
[25]
웹사이트
Shas Soncino: Taanith 29a, Bab. Taanith; ch.4.1–8, 26a–31a, Ta'anis 2a-31a, Ta'anit 29a–b
http://dtorah.com/ot[...]
2014-06-28, 2014-06-28, 2014-06-27, 2014-06-27
[26]
웹사이트
דף כה,ב פרק ד, ירושלמי תענית דף כה ב
https://web.archive.[...]
2014-07-08
[27]
웹사이트
Roman provincial coin of Hadrian [image]
https://archive.toda[...]
Israel Museum
2014-07-01
[28]
서적
Hadrian and the Cities of the Roman Emp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reek and Roman Coinag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2-23
[30]
서적
The Near East Under Roman Rule: Selected Papers
https://books.google[...]
Brill
[31]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in the Greco-Roman World: The Jews of Palestine from Alexander the Great to the Arab Conques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32]
서적
Jesus and His Contemporaries: Comparative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33]
서적
Between Rome and Babylon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34]
서적
Judeophobia: Attitudes Toward the Jews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2-01
[35]
서적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New Perspectives on the Second Jewish Revolt Against Rome
Mohr Siebeck
[37]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in the Greco-Roman World: The Jews of Palestine from Alexander the Great to the Arab Conquest
Routledge
[38]
서적
The Ban on Circumcision as a cause of the Revolt: A Reconsideration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39]
웹사이트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New Perspectives on the Second Jewish Revolt Against Rome
https://books.google[...]
Isd
[40]
웹사이트
The Bar Kochba Revolt: A Disaster Celebrated by Zionists on Lag Ba'Omer
https://www.haaretz.[...]
Haaretz
2015-05-06
[41]
학술지
The bar Kokhba Revolt: The Roman Point of View
[42]
학술지
The bar Kokhba Revolt: The Roman Point of View
[43]
웹사이트
The Creators of the Mishna, Rabbi Akiba ben Joseph
https://www.sefaria.[...]
[44]
학술지
Ezekiel 40–48 as a Model for Bar Kokhba's Title 'Nasi Israel'?
2023-03-23
[45]
웹사이트
Numbers 24:17
https://www.sefaria.[...]
[46]
백과사전
Bar Kokba and Bar Kokba War
http://jewishencyclo[...]
1906
[47]
웹사이트
Legio VIIII Hispana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4-06-26
[48]
학술지
[49]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Mohr Siebek
[50]
웹사이트
What Does Tel Shalem Have To Do with the Bar Kokhba Revolt?
https://www.ceeol.co[...]
2013-09-10
[51]
서적
Archaeological Researches in Palestine during the Years 1873–1874
London
[52]
종교문헌
Ta'anit iv. 68d; Lamentations Rabbah ii. 2
[53]
종교문헌
Taanit 4:5 (24a); Midrash Rabba (Lamentations Rabba 2:5)
[54]
종교문헌
Ta'anit 4:5
[55]
백과사전
10447-martyrs-the-ten
[56]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Mohr Siebek
[57]
서적
Teaching about genocide: issues, approaches and resources
https://books.google[...]
[58]
서적
Der Bar Kochba-Aufstand
[59]
웹사이트
Judaea in Hellenistic and Roman Times
https://brill.com/di[...]
Brill
2024-06-18
[60]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Mohr Siebek
[61]
서적
The Impact of Rome on the Periphery: The Case of Palestina – Roman Period (63 BCE – 324 CE)
The Archaeology of Society in the Holy Land
[62]
서적
The Bar Kokhba War AD 132–136: the last Jewish revolt against imperial Rome
Osprey Publishing
[63]
학술지
Rural Monasticism as a Key Element in the Christianization of Byzantine Palestine
https://www.jstor.or[...]
2005
[64]
서적
Land confiscation in Judaea was part of the suppression of the revolt policy of the Romans and punishment for the rebels. But the very claim that the sikarikon laws were annulled for settlement purposes seems to indicate that Jews continued to reside in Judaea even after the Second Revolt. There is no doubt that this area suffered the severest damage from the suppression of the revolt. Settlements in Judaea, such as Herodion and Bethar, had already been destroye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olt, and Jews were expelled from the districts of Gophna, Herodion, and Aqraba. However, it should not be claimed that the region of Judaea was completely destroyed. Jews continued to live in areas such as Lod (Lydda), south of the Hebron Mountain, and the coastal regions. In other areas of the Land of Israel that did not have any direct connection with the Second Revolt, no settlement changes can be identified as resulting from it.
[65]
서적
Demonstratio Evangelica
[66]
서적
Commentary on Daniel
[67]
서적
The Bar Kokhba War AD 132–136: the last Jewish revolt against imperial Rome
Osprey Publishing
[68]
학술지
Towards a Study of the Roman Slave Trade
https://www.jstor.or[...]
1980
[69]
서적
The Bar Kokhba War AD 132–136
Osprey Publishing
[70]
서적
Between Rome and Babylon: Studies in Jewish Leadership and Society
Mohr Siebeck
[71]
서적
Atlas of Jewish History
Routledge
[72]
웹사이트
Palestine
http://sunburst.usd.[...]
University of South Dakota
2013-02-09
[73]
서적
https://books.google[...]
[74]
논문
[75]
논문
Archaeological Explorations North of Bet Guvrin (Eleutheropolis)
[76]
논문
Ein Gedi: A Large Jewish Village1
[77]
서적
The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of the Jewish community in the Land of Israe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서적
[79]
서적
The Targum of Judges
https://books.google[...]
Brill
[80]
서적
[81]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82]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83]
서적
The archaeology of Ancient Judea and Palestine
Getty Publications
[84]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85]
논문
The Origins of the Rural Settlers in Judean Mountains and Foothills during the Late Roman Period
[86]
논문
היבטים בתרבות החומרית של יהודה הכפרית בתקופה הרומית המאוחרת (135–324 לסה"נ)
אוניברסיטת בר-אילן
[87]
논문
בין נחל רבה לנחל שילה: תפרוסת היישוב הכפרי בתקופות ההלניסטית, הרומית והביזנטית לאור חפירות וסקרים
אוניברסיטת בר-אילן
[88]
논문
Were There Villages in Jerusalem's Hinterland During the Byzantine Period?
[89]
논문
A Rock-Cut Burial Cave from the Roman Period at Beit Nattif, Judaean Foothills
http://lisa.biu.ac.i[...]
2014-08-16
[90]
서적
ארץ-ישראל בשלהי העת העתיקה: מבואות ומחקרים
יד יצחק בן-צבי
[91]
웹사이트
Texts on Bar Kochba: Eusebius
https://www.livius.o[...]
2020-03-26
[92]
논문
The Jewish-Christians in the storm of the Bar Kokhba Revolt
Éditions du Cerf
[93]
문서
Apologia, Hist. Eccl., Hist.
[94]
서적
Pilgrimage: From the Ganges to Graceland: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95]
서적
Legions and Veterans: Roman Army Papers 1971–2000
Franz Steiner Verlag
[96]
서적
Roman History
[97]
논문
The bar Kokhba Revolt: The Roman Point of View
[98]
웹사이트
Legio VIIII Hispana – Livius
https://www.livius.o[...]
[99]
서적
Antisemitism: Its History and Cause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00]
서적
Res Gestae
[101]
웹사이트
Julian and the Jews 361–363 CE
http://www.fordham.e[...]
[102]
서적
A Psychoanalytic History of the Jews
[103]
서적
Igrot Eretz Yisrael
Tel Aviv
[104]
서적
Remains of the Jews: The Holy Land and Christian Empire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05]
서적
Oxford University Press
[106]
서적
Weinberger
[107]
논문
The Status of the Jews in Roman Legislation: The Reign of Justinian 527–565 CE
http://www.jstor.org[...]
[108]
서적
The Emperor Justinian and the Byzantine Empir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5
[109]
서적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4-03-11
[110]
논문
chorevet atari - kfar yahodi mitkupat havit hashani beshpalet yehuda
http://lisa.biu.ac.i[...]
2002
[111]
논문
Rural Monasticism as a Key Element in the Christianization of Byzantine Palestine
https://www.jstor.or[...]
2005
[112]
논문
Kiryat Sefer{{snd}}A Jewish Village and Synagogue of the Second Temple Period
[113]
논문
Horvat 'Etri – The Ruins of a Second Temple Period Jewish Village on the Coastal Plain
[114]
논문
Gophna during the Late Roman Period in Light of Artistic and Epigraphic Finds
[115]
논문
Herodium Tunnels
[116]
서적
Archaeological Researches in Palestine during the Years 1873–74
London
[117]
논문
The Archaeology of the Second Jewish Revolt against Rome (The Bar Kokhba Revolt)–Some New Insights
[118]
논문
Hiding Complexes in Judaea: An Archaeological and Geographical Update on the Area of the Bar Kokhba Revolt
Tübingen
[119]
논문
Underground Hiding Complexes in Israel and the Bar Kokhba Revolt
[120]
논문
Expedition B{{snd}}The Cave of Horror
http://www.jstor.org[...]
[121]
뉴스
Rare ancient scroll found in Israel Cave of Horror
https://www.bbc.com/[...]
2021-03-16
[122]
웹사이트
Four 1,900-year-old Roman swords found in cave in Israel
https://www.cnn.com/[...]
2023-09-06
[123]
논문
Sixteen Bar Kokhba Coins from Roman Sites in Europe
[124]
서적
Bar Kokhba Coins from Roman Sites in Europe: A Reappraisal.
[125]
논문
Bar Kokhba’s bronze coin from Kolovare Beach in Zadar
https://www.research[...]
[126]
서적
מחקרי יהודה ושומרון
מו"פ אזורי השומרון ובקעת הירדן; המרכז האוניברסיטאי אריאל בשומרון
[127]
뉴스
2,000-Year-old Inscription Dedicated to Roman Emperor Unveiled in Jerusalem
https://www.jpost.co[...]
Jerusalem Post
2014-10-21
[128]
논문
The Tel Shalem Hadrian Reconsidered
https://www.jstor.or[...]
[129]
논문
WHAT DOES TEL SHALEM HAVE TO DO WITH THE BAR KOKHBA REVOLT?
U-ty of Haifa / U-ty of Denver
[130]
논문
[131]
웹사이트
Rare Bar Kochba-Era Coin Discovered at Foot of Temple Mount
https://www.israelha[...]
2020-05-11
[132]
웹사이트
'Year 2 of freedom': Ancient coin from Bar Kochba revolt found near Temple Mount
https://www.timesofi[...]
[133]
서적
The Bar Kokhba Syndrome: Risk and Realism in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SP Books
[134]
웹사이트
Roman Legion Camp Unearthed in Megiddo – Inside Israel – News
http://www.israelnat[...]
2015-07-09
[135]
뉴스
התגלית שהוכיחה: מרד בר כוכבא חל גם בשומרון
http://www.nrg.co.il[...]
NRG
2015-07-15
[136]
논문
Een joods huishouden in Perea? De resultaten van de eerste opgravingscampagne op Tell Abu Sarbut in 2012
[137]
논문
Jewish Finds from Peraea (Transjordan) from the Second Temple Period until the Bar-Kokhba Revolt
[138]
논문
Review of ''Fouilles archéologiques de ʿAïn ez-Zâra/Callirrhoé, villégiature hérodienne''
[139]
서적
Hesban 7: Hellenistic and Roman Strata
Berrien Springs, MI: Institute of Archaeology
[140]
논문
The survey in the regions of 'Iraq al-Amir and Wadi al-Kafrayn, 2000
[141]
논문
New insight into the Bar Kokhba War and a reappraisal of Dio Cassius 69.12–13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6-07
[142]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2003
[143]
논문
New Insight into the Bar Kokhba War and a Reappraisal of Dio Cassius 69.12–13
https://www.jstor.or[...]
1986-07
[144]
위키소스
Epistle to Yemen
wikisource:Epistle t[...]
[145]
웹사이트
https://www.knesset.[...]
[146]
서적
The military and militarism in Israeli society
https://books.google[...]
2010-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